2017.5.21 7편 보스니아 모스타르
2017.5.21 7편 보스니아 모스타르
스플리트를 관광하고 1시간에 걸쳐 버스를 타고 도착한 곳은 보스니아 모스타르 국경을 넘어 오느라 시간도 걸렸지만 그래도 나은편이라고 한다. 어느때는 2시간이상 걸린다고 한다. 서유럽은 거의 모구 통과하는데 여기는 그렇지 않다 일일히 여권을 조사하니 말이다.
헤르체코비나의 수도였던모스타르는 한때 양민족의 화해의 상징이었던 모스타르 다리 를 조망한다.
그 추억들을 아래에 담아본다.
모스타르 Mostar
모스타르는 헤르체고비나 지역의 가장 큰 도시로 네레트바 강을 끼고 있으며,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에서는 사라예보 다음으로 잘 알려진 주요 관광지이다. 버스 터미널이 위치한 신시가지는 상당히 현대적인 모습을 하고 있지만, 조금 걸어서 구시가지로 넘어 오면 타임머신을 타고 시간 여행을 온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된다. 모스타르는 크로아티아의 두브로브니크나 스플리트에서 쉽게 방문이 가능하다. 모스타르는 네레트바 강을 중심으로 보스니아인이 거주하는 지역과 크로아티아인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나뉘어 있다. 유고슬라비아 내전이 일어나기 전에는 세르비아인도 상당히 거주하고 있었으나 전쟁 이후 대부분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으며 지금은 보스니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이 도시를 절반씩 차지하고 있다.
이슬람 교회
모스타르 성당 종탑
주민들의 정성 관광 산업의 발자취 아름다운 주택
성당 종탑
상당과 종탑
건물 곳곳에 전쟁의 상처(총탄 자욱)가 선명히 남아있다
벽돌 건물에 뚤린 무수히 많은 총탄 자국 을 본다.
시가지 쇼핑
여인네들의 해맑은 미소
총탄의 흔적 건물 부서진 건물이 그당시를 영화 처럼 느껴본다 아직도 군데군데 포탄 자국이 남아있고, 무너진 집과 건물이 곳곳에 그대로 남아 있는 이곳
점원의 아름다운 미소 카메라를 보더니 향긋한 미소로 대답하는 아가씨
모스타르 입구 모스타르는 오래된 다리라는 뜻이다
모스타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남서부에 위치한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이슬람풍의 중세도시이다.
모스타르란 크로아티아어로 '오래된 다리'라는 뜻이다.
관광객으로 사진찍을 여력조차 힘들고
스타리 모스트 Stari Most 는“오래된 다리”라는 뜻으로 1557년 오스만 투르크 의 하이
레딘이 1,088개의 하얀돌로 지었는데 길이 30미터 폭 5미터 높이 20미터 아치형 다리다.
이슬람인과 기독교도 마을을 이어주었던 다리는 1993년 크로아티아의 포격 으로 붕괴되었다.
좁은길에 쇼핑 선물가계로 더욱 붐비고
모스타르 (오래된 다리) 앞의 문구
(잊지말자 '93. 1993년 내전으로 파괴된 다리를 복원하고 새겨 놓은 문구)
모스타르 가는 길 (터키인의 거리)
어딜가나 아이스크림 역시 맛있다
터키인의 거리 (카페, 식당, 기념품점, 관광객으로 북적인다)
모스타르의 카페, 레스토랑 (오스만 투르크의 지배를 오래 받아, 터키 문화가 많이 남아 있다)
호텔도보이고
인증샷도 빠지지 않고
역시 관광객은 알아보는 아가씨 포즈도 해맑은 미소로 아름답게
장인정신이 묻어나는곳
모스타르 (오래된 다리) 앞의 문구
(잊지말자 '93. 1993년 내전으로 파괴된 다리를 복원하고 새겨 놓은 문구)
모스타르는 아드리나해로 흘러가는 네레트바 강 연안에
강의 북쪽에는 같은 슬라브민족이면서 가톨릭을 믿는 크로아티아인들이,
남쪽에는 이슬람을 믿는 무슬림들이 살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은 다양한 문화와 민족과 종교가 혼재되어 있는데
원인이 되바로 이러한 점이 내전 때 많은 모스크들과 아치형 다리가 파괴된 원인이 되었다었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를 대표하는 오스만 건축물로 높이 약 20m, 길이 29m의 아치 형태로 된 간결한 석교다. 다리는 중앙을 향해 급경사르 이루고 있으니 미끄러지지 않도록 조심하자. 양 끝에 있는 탑 중 동쪽탑은 다리와 관련한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탑 위에서 바라보는 경치가 아름답다. 담력을 테스트 하기 위해 탑에서 뛰어드는 사람도 있따. 밤에는 조명이 밝혀 진다.
예수상을 손안에 넣는기술
모스타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1993년 내전으로 파괴된 것을 2004년 다시 복원 하였다)
모스타르 한복판을 유유히 흐르는 네레트바 강
모스타르는 아드리나해로 흘러가는 네레트바 강 연안에
강의 북쪽에는 같은 슬라브민족이면서 가톨릭을 믿는 크로아티아인들이,
남쪽에는 이슬람을 믿는 무슬림들이 살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은 다양한 문화와 민족과 종교가 혼재되어 있는데
원인이 되바로 이러한 점이 내전 때 많은 모스크들과 아치형 다리가 파괴된 원인이 되었다었다
바닥의 돌이 워낙많은 관광객 때문에 반질반질 미끄러워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아치형 다리가 바로 모스타르 다리 (Slari Most)이다.
다리는 양쪽에 타워 같은 건물을 두고 아치형 형태로 바닥엔 대리석이 깔려 있다
다리 양쪽의 건물들은,
다리 서쪽 (오른쪽)의 높은 건물은 옛날엔 감옥으로 쓰였다고 한다.
다리 동쪽 (왼쪽) 건물은 다리통제소
그 다리가 보스니아 내전 중 파괴되었다
내전이 끝난 후, 강바닥에 가라앉아 있던 다리의 파편들을 꺼내 복구하였다.
모스타르의 폭격으로 파괴된 건물
모스타르 도심을 흐르는 네레트바 강
강을 사이에 두고 가톨릭교도들과 무슬림들이 나뉘어 살고 있다.
모스타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1993년 내전으로 파괴된 것을 2004년 다시 복원 하였다)
(자갈 포장길이 인상적이다)
위에서 본 모스타트
평화의 상징인 모스타리 다리
모스타르 도심을 흐르는 네레트바 강
다리에서 강으로 뛰어내리는 다이버로도 유명한데
관광객들이 다이버에게 일정량의 돈을 주면 다리에서 강으로 뛰어내린다고 한다.
바닥의 돌이 많은 관광객으로 인해 달고 달아 미끄러워
조금 걸어 들어가니 이슬람풍의 상점들이 늘어서 있다.
넓지 않은 골목길엔 여행객들이 거의 밀려서 다니고 있다.
그 상점들 사이로 외국인들이, 여행객들이 밀고 밀려가면서 다닌다
쇼핑 거리 이모 저모 구경해보세요
낭만의쇼핑거리 없는 물건이 없네
어느 수도자가 미소띤얼굴로 멋진 포즈를 취해주고
아름다운 수공예품
아름다운 수공예품
아름다운 수공예품
포토죤 차지하는 것도 전쟁
관광객이 많아 사진찍을 자리도
모스타르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로 ‘오래된 다리’라는 뜻이다.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였으며, 아드리아해로 흘러드는 네레트바강(江) 연안에 위치한다. 주변 일대에서 포도 ·과일 ·잎담배가 재배되고, 담배 ·섬유 ·목재가공 ·비행기 공업도 활발하다. 또 부근에 있는 석탄 ·보크사이트 채굴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중세 건축물이 많으며, 로마 시대의 성(城), 1556년 건설된 다리, 터키령 시대의 이슬람교 사원 등이 유명하다. 1878∼1918년 오스트리아 지배 때에는 세르비아 애국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식사를 하면서 느낀 모스타르의 분위기는 이슬람이다.
마치 터키의 어느 소도시에 와있는 듯한 느낌이라고 할까~
레스토랑에서 흘러나오는 음악도 터키를 여행하면서 들었던 분위기의 음악이고
거리의 분위기도 터키같다.
관광객들의 식사하는 모습이 정겨웁다
아주어린 관광객 엄마의 곁에서 무얼 배우나
강변에서 보이는 모스타르 (오래된 다리)
물담배를 피우고 있는 주민들
모스타르에서 내려다 보이는 네레트바 강
네레트바 강 상류쪽
네레트바강 오른쪽의 이슬람 지역의 고풍스러운 건물들이 많다
코스키 메흐메드 파시나 자미야
1619년에 세운 이슬람사원으로, 스타리 모스트의 북쪽에 있다. 첨탑과 강 근처에 잇는 테라스는 스타리 모스트가 잘 보이는 사진촬영 장소로 유명하다. 밤에 조명이 켜진 스타리 모스트도 아름답다. 예배시간(금요일 12~15)에는 입장할 수 없다.
네레트바강가의 카페
파괴된 다리를 복구하는데 원조한 국가들의 명패
(이태리, 네덜란드, 터키, 유럽개발은행,크로아티아 등)
아름답지만 슬픈나라 보스니아로의 여행은 많은것을 생각하게 하는 장소였다
커다란 기대를 가지고 모스타르 도심으로 들어간다.
도심으로 들어가는 길가엔 폭격으로 무너진 집들이 서 있다.
건물은 멀쩡하다고 해도 외벽은 총탄자국으로 내전의 참상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어느 벽돌 건물에 뚤린 무수히 많은 총탄 자국 을 본다.
아직도 군데군데 포탄 자국이 남아있고,
무너진 집과 건물이 곳곳에 그대로 남아 있는 이곳
모스타르 대성당 (아직 미완성이다. 콘크리트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모스타르를 떠나며, 보이는 네레트바 강과 모스타르의 집들
네움으로 가기위해 국경을 3번이나 넘는다 국경넘는시간이 2시간이나 걸린다
아드리아 해안의 네움호텔
(길이 약 2km의 해안 도시 네움은 보스니아의 유일한 바다쪽 출구인 해안 도시이다)
아드리아네움호텔 저녁식사
네움(Neum) - 보스니아에는 20㎞의 길지 않은 해안선이 있는데, 휴양도시 네움(Neum)이 그곳에 있다. 네움은 크로아티아의 해안선 일부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티토가 구 유고 연방을 집권하면서, 모든 종교들이 모여 있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해안선 일부를 내주었기 때문이다. 네움도 이때에 보스니아의 영토가 됐다.
1970년대 말 보스니아 인구의 3-40%는 종교를 초월한 민족 간 혼혈이었다. 티토의 유고슬라비즘은 세르비아니즘을 막고 하나로 된 남슬라브인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독자적 공산주의를 이룩한 티토는 내정에 간섭하려는 소련의 스탈린과 결별했다.
네움 아드리아 호텔에서 보이는 빨간지붕의 예쁜 집들과 아드리아해
다음편을기대하세요